가구 마감재의 종류 , 나에게 알맞는 가구 고르는 꿀팁 정보
가구에는 붙박이장부터 시작해서 싱크대, 신발장, 책장, 의자 등등 수많은 종류가 존재합니다. 그러다 보니 싱크대 하나 교체하려고 해도 어떤 마감재로 해야 되는지 브랜드 제품을 사용해야 되는지부터 시작해서 싱크대 상판, 싱크수전, 후드 등 수많은 선택과 고민이 필요하게 됩니다. 물론 이 모든 걸 선택하고 고민하기 귀찮으신 분들은 기성으로 판매되고 있는 브랜드 제품을 사용하면 그만이지만 하루이틀 사용하고 버릴 것이 아니라면 내가 쓰고 있는 제품이 어떤 것이며 내가 사용하려는 목적에 맞는 가구인지 알아두면 오래 사용 가능할 것입니다.
가구 원자재란?
마감재를 알기 전 제일 먼저 코어자재인 원자재를 이해하셔야 됩니다. 왜냐하면 자재를 어떤 것을 사용하는지에 따라서 가구의 질과 가격이 달라지기 때문에 무척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제품을 제작할 때 원료가 되는 자재로써 가공을 하지 않은 원상태의 자재 즉 1차 가공상태를 말합니다. 그리고 가구에서 원자재는 가구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목재가 되는것입니다. 이 목재는 다 똑같은 목재를 사용하지 않고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우리나라 가구에서 특징에 따라 다루는 원자재는 크게 원목, PB, MDF, 합판으로 나뉘게 됩니다.
원목
원목은 다른 원자재들과 다르게 인위적인 방법으로 가공하지 않은 목재 즉 자연의 나무 자재로 이루어진 판재 혹은 각재를 말합니다. 나무의 수종에 따른 무늬결의 다양성으로 고급스로운 자재인만큼 가공이 힘들며 가격이 비쌉니다. 부드럽고 따뜻한 자연적인 느낌의 가구제작이 가능하며 다른 가공자재 대비 친환경적인 소재입니다. 다만 열과 습기에 취약하여 변형이 쉽고 옹이, 썩음, 뒤틀림으로 인한 균열, 크기의 한계가 있습니다.
PB
PB는 파티클보드의 줄임말로 자연적인 원목과 다르게 목재를 분쇄하여 가루를 만든 후 고온고압으로 압축성형하여 원하는 두께를 얻은 다음 표면을 매끈하게 샌딩마감한 판재입니다. 부식이나 휨, 비틀림 등의 목재의 결점이 적고 가공성과 생산성이 좋아 저렴하고 실용성이 높습니다. 하여 싱크대 몸통이나 후에 설명드릴 LPM 마감가구의 원자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MDF
MDF는 목질 재료를 주원료로 하여 고온에서 해섬하여 얻은 목섬유를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시켜 고압 성형시킨 주질 섬유 판재입니다. 단열, 흡음성이 좋으며 표면 가능성도 뛰어나 PB보다 비싸지만 그만큼 내구성이 좋은 소재입니다. 가구 도어나 마감용 측판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합판
합판은 목재의 얇은 판을 나뭇결을 서로 직교해서 만든 목재입니다. 가구에서는 주로 가구를 지탱해주기 위한 보조목으로 가끔 사용하며 옛날에는 몰라도 요즘은 가구 원자재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인테리어 용도로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깊게 파고들지 않고 이런 자재도 있다는 것만 아시면 되겠습니다.
가구 마감재란?
가구를 마감하는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지금도 보다 저렴하고 보다 내구성이 우수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마감방법은 여섯 가지 정도이며 그 개별적 특성들을 잘 파악하시면 가구를 선택하실 때에 어떤 제품이 가장 적합한지 판단하시는데 큰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 UV 하이그로시
- LPM / HPM
- PET
- 멤브레인
- 우레탄도장
- 무늬목
UV 하이그로시
가구 도장 중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도장으로 U.V 코팅이라고도 합니다. 목재에 특수도료를 분사한 후 자외선을 쬐어 건조하는 방식입니다. UV 도장은 이 자외선 작업 처리가 핵심인데요. 이것으로 인해 도장의 퀄리티와 보존성이 좋아지는 것입니다. 이때 6회 이상 여러 번 칠해서 고광택을 만드는 것입니다. 여기서 하이그로시가 등장하는데 많이들 헷갈리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하이그로시와 UV는 다른 것인지 정확히 뭐가 서로 다른 건지 구분 짓기가 명확하지 않아서인데요.
하이그로시란 목재표면에 도장처리를 하여 광택 효과를 내는 것을 말합니다. 이 말은 위 UV코팅과 크게 차이점이 없어보입니다. 하지만 UV도장은 유광뿐만 아니라 무광도 가능합니다. 즉 하이그로시는 광택을 내는 종류의 마감을 통칭해서 말하는 것이라 UV유광이 UV하이그로시로 표현하게 된 것뿐입니다. 후술 할 PET에서도 유광이 존재하고 PET유광이라고 말하지 않고 PET 슈퍼 글로시라고 표현을 하는 것처럼 말이죠.
공정 프로세스 상 하이그로시 도장을 끝내고 선택사항으로 UV도장을 합니다. 이 공정이 빠지게 되면 UV 무광 도장이 되는 것입니다.
LPM / HPM
LPM은 Low Pressure Melamine 의 약자로 고 온열압을 이용하여 멜라민 합성수지 모양 지를 PB나 MDF 위에 부착하는 방법입니다. LPM은 모양지를 부착할 때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고 온열압을 가할 때 모양지에 포함된 수지를 함침 시켜 부착하는 방식입니다.
일반 시트지 방식에 비교하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보다 친환경적이며 접착력이 우수하여 모서리 부분이 시간이 지나도 떨어지지 않는다는 점과 시트지에 비해 표면 스크래치 등에 더 강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시트지는 일반적으로 비닐소재이므로 표면에서 벗겨지는 단점이 있는 반면 LPM은 멜라민 합성수지 소재이므로 벗겨지는 현상이 없습니다. 단 소재 특성상 날카로운 송곳 같은 것을 표면에 내리칠 경우 특히 모서리 부분 같은 곳은 찍히는 것이 아닌 부분적으로 깨져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시공 시 주의하셔야 됩니다.
HPM은 High Pressure Melamine 의 약자로 LPM보다 높은 혈압을 사용하며 LPM보다 표면 내구성이 우수합니다. 이러한 장점을 이용해서 열을 사용한 다양한 형태와 자연스러운 곡면 가공이 가능해 다양한 디자인과 컬러가 가능합니다. 접착시간이 길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LPM은 사무용 가구, 책장 등 많이 사용되고 있고 HPM은 사무용 책상 상판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PET
PET는 Polyethylene Terepahthalate 의 약자로 쉽게 말해 플라스틱 화학제품 계열의 재질을 MDF나 PB에 접착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페트병이라고 말하는 음료수병, 음식 포장 용기에 쓰이는 소재와 같은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단단하고 변색, 크랙, 갈라짐 현상이 적으며 내수성도 좋아서 주방가구의 마감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가격도 저렴해서 가성비가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두께는 시트지의 약 2배 정도 됩니다. 가구 도어뿐만 아니라 마감용 측판에도 사용이 가능해서 깔끔해 보이고 습기 침투에 강합니다.
멤브레인
보통 시트지나 LPM, HPM, PET는 표면이 평평한 경우에만 가능한 마감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멤브레인은 이 점을 보완하여 표면이 곡면으로 된 경우나 오목형일 경우 접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표면마감 방식입니다. 시부착하고자 하는 PB나 MDF의 표면 모양으로 성형을 뜬 다음 프레스의 고압을 이용하여 시트지를 압착하는 방식입니다.
가구 도어에 음각문양이나 웨인스코팅 몰딩형식의 도어가 전부 멤브레인 공법으로 가공 된 것입니다. 예전에는 한창 유행하면서 많은 인기를 끌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서리 부분이 떨어지는 현상도 발생되고 있습니다.
우레탄도장
우레탄 도장은 도장의 한 방법으로 PB나 MDF 등의 엔지니어링 우드나 원목이나 종류에 관계없이 넓게 사용되는 도장 방법입니다. 우레탄 계열의 도료를 사용해서 가구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 후 경화제를 사용해서 경화시키는 공법으로 요철이 많고 입체적인 가구에 자주 사용합니다.
표면 마감을 하였을 경우 목재를 오염이나 스크래치에 매우 강하게 만들어 주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마감 느낌은 표면이 부드럽고 무광, 반광 할 것 없이 광택을 취향에 맞게 선택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단 페인트 특성상 시간이 지나면 똑같은 색상을 조색하기 힘든 점을 감안하여 후에 보수 문제를 생각하시면 한번 더 생각해보시면 결정하시는 게 좋습니다. 단가는 무늬목과 비슷한 수준으로 굉장히 비싼 편에 속합니다.
무늬목
앞서 말씀드린 LPM, HPM, PET, 멤브레인은 다소 인위적인 느낌이 강한 표면 마감 방식입니다. 비닐 또는 합성수지로 된 얇은 표면 마감재를 PB 또는 MDF에 부착하는 방식이다보니 이러한 느낌을 좋아하지 않으시는 분들을 위한 표면 마감 방식이 바로 무늬목입니다.
무늬목은 원목을 사과껍질을 벗기듯이 얇게 벗긴 매우 얇은 나무박판입니다. 이 매우 얇은 나무박판을 PB나 MDF위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이 원목인지 무늬목인지 구별하기가 힘들어 원목을 사용하는 것보다 비용도 저렴하게 가구를 제작할 수 있어 무늬목을 많이들 사용하십니다.
주로 호텔, 리조트, 콘도 등 대형상업시설물이나 유명한 숙박업소에 들어가 있는 제품들은 다 무늬목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단가는 우레탄도장과 같이 다른 소재에 비해 많이 비싼편이며 무늬목 종류에 따라 가격편차도 있습니다.
나에게 알맞는 가구 소재는 무엇일까?
위에 설명드린 것을 토대로 개인소비자부터 대형건설사 현장까지 제작 납품하며 어떤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맞는지에 대한 기준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각 사람마다 견해의 차이가 있으며 정답은 아니니 도움이 되는 건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UV - 전세 또는 월세방을 위한 리모델링이 필요한 분, 가격이 매우 저렴하고 유광재질을 좋아하시는 분, 가구 황변현상(변색)이 되더라도 크게 신경쓰지 않는 분
- LPM - PET보다 저렴하며 사무실 공간이나 사업장에 필요한 장을 제작하시는 분, 가구 몸체(PB)의 필름 재질이나 색상이 마음에 안 드시는 분(PB로 나타낼 수 있는 마감보다 LPM이 나타낼 수 있는 표면 마감이 훨씬 많음)
- PET - 가장 선호하고 가성비 있는 도어재질, 크게 무늬있거나 색상이 튀거나하지 않는다면 무난하고 심플한 것을 원하는 분, 싱크대, 붙박이장, 파우더장, 신발장, 바테이블 등 활용된다.
- 멤브레인 - 도어에 모양이 있는걸 선호하는 분, 푸시 형태가 아닌 손잡이 형태의 가구를 좋아하시는 분, 도어로서의 활용은 가능하나 몸체로 사용은 권장하지 않는다.
- 우레탄도장 - 원하는 색상이 딱 정해져 있는 분, 표면마감이 부드럽고 고급스러움을 원하시는 분, 나만의 가구를 제작하여 갖고 싶은 분
- 무늬목 - 대형상업시설, 호텔, 리조트, 콘도에 가구를 제작하시려는 분, 민자무늬는 싫고 따뜻하고 우드무늬를 선호하는 분, 원목이 좋지만 가격대를 조금 낮추고 싶으신 분
이상 가구 원자재와 마감재에 대해 크게 나눠 풀어드렸습니다. 무늬목에도 천연무늬목과 인조무늬목이 있고 그리고 습식과 건식이 따로 있는 것처럼 세세하게 나눠야 될 부분이 많지만 한 번에 많은 내용을 풀어도 이해도 되지 않고 와닿지 않을 것입니다. 앞으로 하나씩 풀어가며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일반 개인이나 소비자들은 이런 것도 있구나하는 정도에 이해만 하시면 될 것 같고 인테리어 업종 종사자들은 적어도 마감재에 대한 이해도를 많이 키워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많이 부족하지만 많은 마감재를 이해하고 사용해 보면서 알아가고 있으니 서로 좋은 정보 많이 나눴으면 좋겠습니다. 각 상황에 맞게끔 적절한 마감재를 선택하고 사용할 줄 알아야 전문가일 테니까요.
'주 - 住 > 인테리어 디자인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테리어 맞춤 제작 가구 의뢰시 알고있으면 좋은 꿀팁 (1) | 2023.05.11 |
---|---|
건축 및 인테리어 현장용어 정리 1탄 (1) | 2023.01.30 |
마감재 선정 이제는 알고 선택하자, 인테리어 필름 장단점. (0) | 2022.1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