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 맞춤 제작 가구 의뢰시 알고있으면 좋은 꿀팁
인테리어 계획 시 빠지지 않는 게 바로 맞춤 가구 제작인데요. 상업용 가구에는 탕비실 바테이블, 책장, 책상, 진열장 등이 있으며 주거용 가구에는 붙박이장, 싱크대, 신발장, 팬트리장 등등 많은 용도의 가구들이 있습니다. 저번 시간에 이어 자신에게 필요한 가구 마감재를 선택하였다면 어떻게 내가 구상하고 있는 가구를 만들 수 있는지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인테리어 맞춤 가구 제작] - 가구 마감재의 종류 , 나에게 알맞은 가구 고르는 꿀팁 정보
가구 마감재의 종류 , 나에게 알맞는 가구 고르는 꿀팁 정보
가구에는 붙박이장부터 시작해서 싱크대, 신발장, 책장, 의자 등등 수많은 종류가 존재합니다. 그러다 보니 싱크대 하나 교체하려고 해도 어떤 마감재로 해야 되는지 브랜드 제품을 사용해야 되
yuho1216.tistory.com
인테리어 맞춤 제작 가구 의뢰하는 방법
보통 많은 사람들이 맞춤 제작 가구가 아닌 인테리어 가구를 인터넷으로 사는 방법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에서 어떻게 사야 되는지 모르겠고 온라인상에서는 무조건 싸게 살 수 있다는 인식 때문입니다. 하지만 간단한 수납장이나 원룸에서 생활할 때 잠시 쓸 정도의 가구는 문제없으나 장기간 내가 사용하는 가구들은 웬만하면 추천드리지 않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그런 장들은 기성사이즈, 즉 사이즈가 정해져있고 수납공간 또한 정해져 있기 때문에 내가 원하는 공간을 쓸 수가 없고 만들어져 있는 가구에 내가 맞춰 써야 되는 상황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또한 가격이 싼만큼 자재의 질도 결정되며 이는 좋은 퀄리티의 제품이 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맞춤제작가구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내가 사용 하고 싶고 필요한 공간을 나만의 가구로 만들 수 있다는 점입니다.
나에게 맞는 맞춤 제작 가구를 의뢰를 하시기 전에 아래 세 가지 사항은 필히 체크하시면 좋습니다.
1. 자재 사양 체크
앞전 포스팅에서 설명드렸듯이 도어 마감재도 정말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사용 용도에 따른 마감재의 선택이지 어떤 자재를 이용하는지는 모를 것입니다. 가장 간단하게 확인해야 될 사항은 E0 등급의 친환경 합판을 사용하느냐 두께는 얼마나 되는지 직접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지입니다.
E0, E1, E2 순서대로 친환경 등급이 낮아지며 요즘에는 E0 등급의 합판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격면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업체 측에서 설명도 안 하고 잘 모르는 사람들은 등급이 낮은 걸 사용하면서 싸니까 좋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시니 이 부분 꼭 기억하세요.
두 번째는 바로 합판 두께입니다. 일반적으로 15T ~ 18T 두께의 합판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두께에 따른 합판의 가격도 다르며 내구성이 더 좋은 18T를 사용하시는 게 좋습니다. 무게가 무거운 점은 있으나 그만큼 튼튼하고 하자 발생률이 적습니다. 요청 시 18T로 제작하지 않는다는 가구 업체는 그냥 피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마지막으로 공장을 직접 운영하고 있어야 됩니다. 이 부분을 잘 모르기 때문에 온라인에서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은데 온라인 스토어상 판매자들을 보시면 직접 운영하고 있는 업체도 있습니다. 그 외는 가격 뻥튀기에 하자발생시 책임을 질 수가 없기 때문에 추천드리지 않고 있습니다.
똑같은 자재를 쓰고 한샘브랜드 로고가 붙어있다고 가격이 비싼 이유가 무엇일까요? 바로 사후관리때문입니다.
가구는 직접적으로 내가 사용하며 가장 많이 손이 가는 곳입니다. 아무리 잘 사용한다고 해도 100% 문제가 안 생길 확률이 없는 곳이기도 합니다. 위 내용에 적합한 자재를 공급하며 공장을 직접 운영 중인 곳이라면 사후관리 또한 마음 편히 받아 보실 수 있고 무엇보다 브랜드 가구보다 똑같은 퀄리티에 저렴합니다.
2. 실측 및 도면제작
괜찮은 업체를 선정하셨다면 현장 미팅을 가지면서 내가 이용하고 싶은 가구가 무엇인지 그리고 위치를 알려주시면 됩니다. 대부분 실측 후 고객이 원하는 방향의 가구구성도를 도면으로 풀어주기 때문에 도면을 보고 내가 필요한 공간을 수정하며 협의하면 됩니다.
또한 인터넷상에서도 가구도면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컨설팅 및 디자인도 가능한 곳이 있으니 아래 사진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가구도면을 받고 알아본 몇 군데 업체에 견적서를 받아 비교견적을 하면 보다 편하게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3. 시공기사와 포트폴리오 검토
우선적으로 포트폴리오는 일을 잘하고 못하고를 떠나 이 업체가 나와 생각하는 디자인 결이 맞는지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아무리 설명을 잘한 거 같고 100% 서로 이해한 듯 보여도 결국 마감을 하고 나면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이 바로 이 디자인적인 부분입니다.
내가 원하는 디자인이나 구성이 동떨어져 있거나 결이 안 맞으면 조심하셔야 됩니다.
내가 생각했던 것은 이게 아닌데, 상대는 이렇게 항상 작업해 왔기 때문에 당연히 생각하는 바가 다를 수밖에 없으니 꼭 포트폴리오는 참고하세요.
그리고 마찬가지로 설치, 시공 기사는 누가 하느냐입니다. 한샘도 그러하듯 직접 기사들을 교육시켜 양성해서 시공 현장에 보냅니다. 한 사람이 현장 실측도 하고 미팅도 하고 도면도 그리고 제작하여 설치까지 한다? 그러면 믿고 거르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물건은 제대로 깨끗하게 만들어냈음에도 불구하고 시공자의 능력에 따라 결과물 또한 천차만별입니다.
이 부분은 결과물을 얻기 전까지 확인하기 어려운 부분이나 사전에 꼭 말씀을 하세요. 꼼꼼하고 일 잘하는 시공기사를 붙여달라고 하셔야 됩니다.
인테리어 가구 도면부터 3D, 맞춤 제작 가구 전문(싱크대, 붙박이장, 신발장 등) : 셀디샵
[셀디샵] 나의 일상을 스스로 디자인하라
smartstore.naver.com
최대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글로 풀어보려고 했는데 전문적인 용어가 많다 보니 쉽지가 않네요. 그냥 이런 것들도 있으니까 확인해 보고 구입하시면 최소한 돈 낭비를 했다고 생각은 하지 않으실 겁니다.
다음 포스팅부터는 글로 푸는 것보다 현장실측부터 시공 마감까지 진행상황을 현장사진과 같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주 - 住 > 인테리어 디자인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문 제작 가구로 광주 세무회계사무소 탕비실 꾸미기 (0) | 2023.06.22 |
---|---|
가구 마감재의 종류 , 나에게 알맞는 가구 고르는 꿀팁 정보 (0) | 2023.02.14 |
건축 및 인테리어 현장용어 정리 1탄 (1) | 2023.01.30 |
댓글